2024. 9. 6. 02:18ㆍ카테고리 없음
1. 서론
고용산재보험토탈서비스는 고용노동부에서 제공하는 통합 시스템으로, 고용보험과 산재보험 관련 업무를 온라인으로 편리하게 처리할 수 있는 플랫폼입니다. 대한민국 고용주 및 근로자가 고용산재보험토탈서비스를 효율적으로 사용하실 수 있게 작은 도움이 되고자 합니다.
고용산재보험토탈서비스 홈페이지
근로복지공단 고용·산재보험 토탈서비스
total.comwel.or.kr
2. 고용산재보험토탈서비스 접속 방법
고용산재보험토탈서비스에 접속하려면 다음 단계를 따르세요:
- 공식 웹사이트 방문: https://total.comwel.or.kr/사이트로 접속합니다.
- 로그인: 화면 상단의 로그인 버튼을 클릭하고, 사업자, 근로자, 일반 사용자 중 해당하는 옵션을 선택합니다.
- 공동인증서(구 공인인증서) 또는 금융인증 간편인증 휴대폰 인증 등의 로그인 방법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.
3. 주요 기능
고용산재보험토탈서비스에서 제공하는 주요 기능.
- 고용보험 가입: 사업장은 새로운 근로자를 고용보험에 등록할 수 있습니다.
- 산재보험 청구: 사업장 사고 발생 시 산재보험 청구서를 제출하고, 사고 관련 절차를 관리할 수 있습니다.
- 보험료 납부: 고용보험 및 산재보험의 보험료를 조회하고 납부할 수 있습니다.
- 상태 조회: 보험 가입, 청구, 납부 내역 등을 실시간으로 조회할 수 있습니다.
4. 고용산재보험토탈서비스 이용 단계별 가이드
1단계: 로그인
웹사이트에 접속한 후, 공동인증서나 휴대폰 인증 등의 방법을 통해 로그인을 진행합니다. 사업자, 근로자, 일반 사용자 중 해당하는 서비스를 선택합니다.
2단계: 메인 메뉴 탐색
로그인 후 대시보드에서 고용보험, 산재보험 등의 메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. 각 메뉴는 다음과 같은 기능을 제공합니다:
- 고용보험: 고용보험 가입, 탈퇴, 조회 등 관련 업무를 처리합니다.
- 산재보험: 산재보험 사고 보고 및 보상 청구를 할 수 있습니다.
3단계: 고용보험 관리
- 고용보험 > 고용보험 가입/탈퇴 메뉴를 선택해 근로자를 등록하거나 탈퇴합니다.
- 근로자의 이름, 주민등록번호, 근무 시작일/종료일 등의 정보를 입력합니다.
4단계: 산재보험 청구
- 산재보험 > 산재보상 청구 메뉴로 이동합니다.
- 사고 날짜, 장소, 상해 유형 등의 정보를 입력합니다.
- 의료 보고서나 사고 현장 사진 등 관련 서류를 첨부합니다.
5단계: 보험료 납부
- 보험료 조회/납부 메뉴를 선택합니다.
- 납부할 금액을 조회한 후, 인터넷 뱅킹이나 신용카드로 납부를 진행합니다.
5. 결론
고용산재보험토탈서비스는 고용보험 및 산재보험 업무를 온라인으로 간편하게 처리할 수 있는 유용한 플랫폼입니다. 아는 만큼 보이고 아는 만큼 얻어갈 수 있는게 현대 정보사회의 단편입니다. 근로자에게 보편적으로 적용되고 보장되는 혜택과 보상등도 제대로 알고 또 알아도 그걸 나의 권리로 찾아오기 위해서는 적절한 절차가 필요한데 그걸 기업 사용자는 적극적으로 하려하지 않을 겁니다. 일단 뭐든 돈과 연관되어있기에 그런데 그래서 우리는 우리 스스로의 법적권리를 잘 찾아내어 받아가야 합니다. 그런 점에서 근로자라면 고용산재보험토탈서비스와 친숙해지는게 좋습니다.
근로복지공단 고용산재토탈서비스소개 https://www.comwel.or.kr/comwel/paym/spec/spec5.jsp
근로복지공단 대표홈페이지 | 사업안내 | 가입납부 | 산재ㆍ고용보험 적용특례 | 노무제공자 산
본 매뉴얼은 고용산재보험 토탈서비스(total.comwel.or.kr)를 이용함에 있어서 보다쉽고 편리하게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도움을 드리고자 제작하였습니다. 고용산재보험 토탈서비스는 고용
www.comwel.or.kr
https://www.law.go.kr/법령/고용보험및산업재해보상보험의보험료징수등에관한법률
고용보험및산업재해보상보험의보험료징수등에관한법률
www.law.go.kr
정부24 관련 서식 https://www.gov.kr/portal/service/serviceInfo/B49000100049
(근로복지공단)보험 가입 증명원 | 민원 안내 및 신청 | 정부24
접속량이 많아 접속이 불가능합니다. 잠시 후 다시 접속해주세요
www.gov.kr